프론트엔드 개발에는 외부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비동기적으로 가져오고 관리하는 과정이 중요하다. 이런 부분은 SWR이나 TanStack Query같은 Data Fetching Library
가 등장하기 전에는 보통 Redux와 같은 전역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에서 데이터를 관리하는 편이었다고 한다.
내가 지금까지 만들어왔던 프로젝트에서는 컴포넌트간 공유해야 할 데이터가 서버로부터 가져오는 데이터인 경우가 많아서인지, TanStack Query
를 사용하고 부터는 전역적인 상태관리 라이브러리의 필요성에 대한 의문이 있어서 Context API를 위주로 사용해왔었는데.. 최근에는 Context API에 대한 불편함을 느끼기도 해서 다른 상태관리 라이브러리에 대해서 알아보고 싶어졌다.
Context API의 불편했던 점
- Context를 생성하고 Provider를 만들어서 주입하기까지의 과정이 번거로웠음.
- Provider가 많아진다면 JSX 트리의 깊이가 깊어졌음.
- Provider의
value
가 바뀌면 하위 트리는 모두 리렌더링되기에, Provider를 국소적으로 잘 나눠야하는 게 번거로웠음.
사실 이 글을 쓰게 된 최초 동기는 TanStack Query
가 관리하는 상태의 변화를 어떻게 컴포넌트가 감지하고 화면을 다시 그릴 수 있는 것인지가 궁금해서 시작하게 되었는데, 다른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까지 가볍게 탐구해보았다.
상태
상태(State)를 정의하는 데 있어서는 다양한 표현이 있겠지만, 필자는 실제 데이터의 변화에 맞춰 화면에 동기화되어 반영될 수 있도록 누군가(예를 들어 React)가 감지하는 값이라고 생각한다.
클래스 컴포넌트에서는 인스턴스가 직접 갖고 있는 state
프로퍼티가 될 수도 있고, 함수 컴포넌트에서는 useState
나 useReducer
와 같은 훅의 사용으로 생성된 클로저의 변수가 될 수도 있다. 기본적으로 컴포넌트끼리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해서는 부모 컴포넌트가 자식 컴포넌트에게 props
인자를 전달하는 방법도 있지만, 컴포넌트 트리의 깊이가 깊어질수록 상위 컴포넌트가 갖는 상태를 하위 컴포넌트로 전달하는 방법을 고민하게 된다.
리액트에서는 보통 Context API
혹은 서드파티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를 이용할 수도 있는데 각 라이브러리들이 어떤 방식으로 구현되어 있는지 간단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상태를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해보자면 리액트가 기본적으로 제공하면서 상태의 변화를 직접 감지하는지 아닌지에 따라서 내부 상태와 외부 상태로 나눌 수 있다. (React 18 for External Store Libraries)
- 내부 상태
리액트가 자체적으로 변화를 감지하는 값으로,useState
나useReducer
로 만들어진 것을 의미한다. - 외부 상태
일반 자바스크립트 변수 등 리액트가 감지하지 못하는 값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컴포넌트가 변화를 감지할 수 있도록useEffect
나useSyncExternalStore
로 변화를 구독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useSyncExternalStore
TanStack Query 의 useBaseQuery
부분을 살펴보다가 useSyncExternalStore
이라는 훅을 발견하게 되었다. (GitHub)
React.useSyncExternalStore(
React.useCallback(
(onStoreChange) => {
const unsubscribe = isRestoring
? () => undefined
: observer.subscribe(notifyManager.batchCalls(onStoreChange))
// Update result to make sure we did not miss any query updates
// between creating the observer and subscribing to it.
observer.updateResult()
return unsubscribe
},
[observer, isRestoring]
),
() => observer.getCurrentResult(),
() => observer.getCurrentResult()
)
React 공식 문서를 살펴보니 리액트의 외부에 존재하는 store를 구독하도록 만들어주는 훅이라고 하는데 React 18 버전부터 사용 가능하다고 한다.
이 훅은 세 가지의 인자를 받는 인터페이스로 되어있었다.
export function useSyncExternalStore<Snapshot>(
subscribe: (onStoreChange: () => void) => () => void,
getSnapshot: () => Snapshot,
getServerSnapshot?: () => Snapshot
): Snapshot {}
- subscribe: 컴포넌트를 스토어에 구독하는 함수. 반드시 구독 해제하는 함수를 반환해야 한다.
- getSnapshot: 스토어에 존재하는 데이터의 스냅샷을 반환하는 함수 (getState의 역할을 한다.)
- getServerSnapshot?: 서버 렌더링시 사용되는 인자로, 스토어에 존재하는 데이터의 스냅샷을 반환하는 함수
이 훅의 명세를 보면서 옵저버 패턴같다는 느낌이 들었는데, 마침 옵저버 패턴을 실제로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 궁금했었기에 만들면서 학습해보자는 생각을 했다.
외부 스토어 실습해보기
리액트 컴포넌트가 외부 스토어를 구독하기 위한 과정에는 옵저버 패턴이 필요하다. 컴포넌트는 스토어를 구독하는 subscriber
가 되고, 스토어는 자신의 값에 변화가 생기면 모든 구독자에게 notify
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이런 아이디어는 React 18 버전에서 도입된 useSyncExternalStore
훅을 이용하면 손쉽게 구현할 수 있다. 훅을 사용하기 전에 먼저 필요한 외부 스토어를 만들어보자.
스토어 만들기
class CounterStore {
private state: number = 0
private listeners = new Set<VoidFunction>()
private notifyAll = () => this.listeners.forEach((notify) => notify())
subscribe = (dispatcher: VoidFunction) => {
this.listeners.add(dispatcher)
return () => this.listeners.delete(dispatcher)
}
getState = () => {
return this.state
}
increase = () => {
this.state++
this.notifyAll()
}
decrease = () => {
this.state--
this.notifyAll()
}
}
const counterStore = new CounterStore()
- state: 상태 변수
- listeners: 스토어를 구독하고 있는 함수들
- notifyAll: 이 스토어를 구독하는 모든 함수를 실행
- subscribe: 인자로 전달받은 함수를
listeners
에 추가 - getState: 스토어의 현재 상태의 값을 반환
- increase: 상태의 값을 증가하고 이 스토어를 구독하는 모든 함수를 실행
- decrease: 상태의 값을 감소하고 이 스토어를 구독하는 모든 함수를 실행
이제 이렇게 만든 스토어는 리액트 컴포넌트에서 useSyncExternalStore
를 통해 구독하고, 변경된 상태 값을 받아올 수 있다.
스토어 사용하기
const Counter = () => {
const state = useSyncExternalStore(counterStore.subscribe, counterStore.getState)
return (
<div>
<div>{state}</div>
<button onClick={counterStore.increase}>+</button>
<button onClick={counterStore.decrease}>-</button>
</div>
)
}
function App() {
return (
<>
<Counter />
<Counter />
<Counter />
<Counter />
</>
)
}
인스턴스 내의 일반 자바스크립트 변수인 state
의 값의 변화에 따라서 Counter
컴포넌트가 새로운 값으로 리렌더링 되고 있으며 여러 컴포넌트끼리 공유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 훅이 들어간 컴포넌트의 실행 흐름을 그려보자면 다음과 같다.
컴포넌트가 마운트 되면
- useSyncExternalStore 의 인자로 전달된
counterStore.subscribe
함수 실행.- 상태 업데이터 함수인
dispatcher
가 스토어의subscribe
로 전달된다!
- 상태 업데이터 함수인
- 스토어의
this.listeners.add(dispatcher)
실행. (구독 목록에 추가)
상태가 변화하면
- 버튼 클릭시 이벤트 핸들러로 인해
increase
함수 실행. - 스토어의
notifyAll
실행. (모든 구독자의dispatcher
함수 실행.) - 스토어의
getState
실행. - 컴포넌트가 갖고 있는
dispatcher
함수를 실행한다는 것은 해당 컴포넌트를 리렌더링 한다는 것.
컴포넌트가 언마운트 되면
counterStore.subscribe
의 반환 함수 실행.this.listeners.delete(dispatcher)
실행. (구독 취소)
스토어 추상화하기
그런데 지금 만들었던 스토어는 Counter
라는 도메인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상태 관리에 대한 부분만 뽑아서 추상화하는 것이 좋아보인다.
스토어의 특징을 몇 가지 뽑아보자면..
- 구독하는 기능이 있어야 한다.
- 구독자들에게 변화를 알리는 기능이 있어야 한다.
- 스토어 상태를 반환하는 기능이 있어야 한다.
class Observable<TState> {
private listeners = new Set<VoidFunction>()
constructor(protected state: TState) {
this.state = state
}
protected notifyAll = () => this.listeners.forEach((notify) => notify())
subscribe = (listener: VoidFunction) => {
this.listeners.add(listener)
return () => this.listeners.delete(listener)
}
getState = () => this.state
}
세 가지 특징을 뽑아서 구독 가능함을 나타내는 Observable
추상 클래스를 만들었다.
그럼 이제 이 클래스를 상속해서 원하는 스토어를 만들면 된다.
class CounterStore extends Observable<number> {
constructor(initialState = 0) {
super(initialState)
}
increase = () => {
this.state++
this.notifyAll()
}
decrease = () => {
this.state--
this.notifyAll()
}
}
공통 로직과 구체적인 로직의 분리가 이루어져서 CounterStore 에서는 자신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액션만 가볍게 가질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새로운 스토어를 만들 때도 Observable
클래스만 상속 받으면 되기 때문에 간편해졌다.
React 18 미만에서는?
그런데 React 18 미만 버전에서도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들은 존재해왔는데, 외부 store를 구독하는 훅이 없던 상황에서 그 라이브러리들은 어떻게 구현되어 왔던걸까? 이런 고민을 하던 와중에 React Conf 2021 내용을 살펴보면 좋겠다는 조언을 받아 학습해보았다.
참고로 위 영상은 Jotai, Zustand 라이브러리를 만든 사람이 React 18 버전에 들어온 Concurrent Rendering으로 인해서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에 사이드 이펙트가 발생한 것을 수정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const useStore = (store, selector) => {
const [state, setState] = useState(() => selector(store.getState()))
useEffect(() => {
const callback = () => setState(selector(store.getState()))
const unsubscribe = store.subscribe(callback)
callback()
return unsubscribe
}, [store, selector])
return state
}
위 코드는 영상의 12:40에서 확인할 수 있는 코드인데, 이처럼 useEffect
를 통해서 외부 상태를 구독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이런 방식은 React 18 버전에 들어서면서 등장한 Concurrent Rendering
를 활용하면 문제가 될 수 있다. 같은 스토어를 바라보고 있는 구독자일지라도 상황에 따라서 다른 값이 렌더링 될 가능성이 발생하는데 이런 현상을 Tearing이라고 한다.
그래서 현재 라이브러리에는 useSyncExternalStore
를 도입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다만, React 18 버전에서부터 사용 가능한 훅이기 때문에 이전 버전에서의 호환성 문제는 괜찮을지 의문이었는데 리액트 패키지로부터 훅을 직접 가져와서 사용하는 게 아니라, 일부 훅만 따로 가져와서 사용하는 shim
을 사용한다고 한다.
예를 들어, zustand에서는
use-sync-external-store/shim/with-selector
패키지를 사용한다.
상태관리 라이브러리 비교
그렇다면 현재 상태관리 라이브러리들은 어떤 방식으로 구현되어 있을까? 궁금해서 간단하게 살펴보았다.
zustand
zustand는 useSyncExternalStore
의 shim
을 사용하고 있었고, 직접 구현해봤던 스토어와 유사한 느낌의 옵저버 패턴으로 구현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import useSyncExternalStoreExports from 'use-sync-external-store/shim/with-selector'
const { useSyncExternalStoreWithSelector } = useSyncExternalStoreExports
export function useStore<TState, StateSlice>(
api: WithReact<StoreApi<TState>>,
selector: (state: TState) => StateSlice = api.getState as any,
equalityFn?: (a: StateSlice, b: StateSlice) => boolean
) {
// ↑ 생략
const slice = useSyncExternalStoreWithSelector(
api.subscribe,
api.getState,
api.getServerState || api.getState,
selector,
equalityFn
)
useDebugValue(slice)
return slice
}
const createStoreImpl: CreateStoreImpl = createState => {
type TState = ReturnType<typeof createState>
type Listener = (state: TState, prevState: TState) => void
let state: TState
const listeners: Set<Listener> = new Set()
const setState: StoreApi<TState>["setState"] = (partial, replace) => {
// ↑ 생략
listeners.forEach(listener => listener(state, previousState))
}
}
const getState: StoreApi<TState>["getState"] = () => state
const subscribe: StoreApi<TState>["subscribe"] = listener => {
listeners.add(listener)
return () => listeners.delete(listener)
}
const destroy: StoreApi<TState>["destroy"] = () => {
listeners.clear()
}
const api = { setState, getState, subscribe, destroy }
state = createState(setState, getState, api)
return api as any
}
Jotai
Jotai는 Context API 기반으로 작성되어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단, Provider
를 개발자가 직접 주입할 필요가 없는게 라이브러리 차원에서 컴포넌트를 알아서 감싸주기 때문이었다.
export const useStore = (options?: Options): Store => {
const store = useContext(StoreContext)
return options?.store || store || getDefaultStore()
}
export const Provider = ({
children,
store,
}: {
children?: ReactNode
store?: Store
}): FunctionComponentElement<{ value: Store | undefined }> => {
const storeRef = useRef<Store>()
if (!store && !storeRef.current) {
storeRef.current = createStore()
}
return createElement(
StoreContext.Provider,
{
value: store || storeRef.current,
},
children
)
}
TanStack Query
TanStack Query는 리액트 라이브러리에 존재하는 useSyncExternalStore
를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마찬가지로 옵저버 패턴으로 구현되었다.
React.useSyncExternalStore(
React.useCallback(
(onStoreChange) => {
const unsubscribe = isRestoring
? () => undefined
: observer.subscribe(notifyManager.batchCalls(onStoreChange))
// Update result to make sure we did not miss any query updates
// between creating the observer and subscribing to it.
observer.updateResult()
return unsubscribe
},
[observer, isRestoring]
),
() => observer.getCurrentResult(),
() => observer.getCurrentResult()
)
export class Subscribable<TListener extends Function = Listener> {
protected listeners: Set<TListener>
constructor() {
this.listeners = new Set()
this.subscribe = this.subscribe.bind(this)
}
subscribe(listener: TListener): () => void {
this.listeners.add(listener)
this.onSubscribe()
return () => {
this.listeners.delete(listener)
this.onUnsubscribe()
}
}
hasListeners(): boolean {
return this.listeners.size > 0
}
protected onSubscribe(): void {
// Do nothing
}
protected onUnsubscribe(): void {
// Do nothing
}
}
학습 후기
아직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를 체계적으로 사용해봤던 경험이 없었는데, 이번 기회에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가 어떤 방식으로 동작하는 것인지 어렴풋이라도 알게되어서 뿌듯하고 오픈소스 분석이 꽤 흥미로운 공부라고 느꼈다. 그리고 옵저버 패턴만 잘 활용한다면 자신만의 상태 관리 스토어를 만드는 것도 생각보다는 크게 어렵지는 않을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간단하게 npm
패키지 배포하는 공부도 해볼 겸 만들어 보는 것도 재밌을 것 같다.
또한 Context API
를 사용할 때 Provider로 감싸진 모든 하위 컴포넌트가 재렌더링 되는 현상이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에서는 왜 나타나지 않는 것인지도 궁금했는데, 리액트 외부의 스토어에 상태를 만들고 필요한 컴포넌트에서만 구독하는 방식으로 구현되었다는 사실도 재밌었다.
스토어 안의 특정 값만 뽑아서 해당 값이 변경될 때에만 리렌더링 하는 방법을 위해 selector
라는 개념도 있다고 하는데, 어떤 원리로 동작하는 건지 알아본다면 재밌을 것 같다.
참고 자료
React 18 for External Store Libraries
useSyncExternalStore를 활용한 동시성 처리 로직